제18대 대통령에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당선됐다.

숱한 최초의 수식어가 붙어 최초의 '여성대통령', 최초의 '부녀대통령', 최초의 '미혼대통령' 등.. 직선제 개헌 이후 첫 과반이상의 최대 득표를 하며 갖가지 진기록과 함께 '박근혜 시대'를 활짝 열었다.


19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후 25년만에 범보수와 범진보의 양자대결로 치러진 이번 대선에서 보수 세력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아 당선되면서 박근혜의 새시대를 예고했다.


이에 박 당선자는 ‘보수 대 진보’ ‘2040 대 5060’의 극심한 대립, 그리고 시대적 화두로 떠 오른 '정치쇄신'과 '경제민주화' 등 풀어가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이번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된 주요 원인은 5060세대의 결집이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50대 투표율은 89.9%로 연령대별 투표율 1위를 60대 투표율 역시 78.8%로 2위를 차지했다. 그리고 50대의 62.5%, 60대의 72.3%가 박 후보를 지지했다.


이 같은 세대별 투표 차이가 결국 문 후보는 48.02%의 득표율로 선전했지만 108만표 차이로 박 당선자에게 패했다. 반면 문 후보를 지지했던 국민도 1,469만명으로 보수와 진보가 극단적으로 양분되면서 ‘박근혜 시대’의 최우선 과제로 '국민 대통합'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함께 이번 대선에서 '안철수 현상'으로 일컬어지는 ‘새 정치’에 대한 국민적 갈증 또한 박 당선인이 풀어야 할 과제다.


이에 박 당선인도 정치쇄신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안대희 전 대법관을 위원장으로 영입하는 등 대선 기간 내내 정치쇄신을 강조해 왔다.

선거공약으로 제시한 △대통령 사면권 제한 △국회의원 면책특권 제한 △국회의원 정원 축소 △중앙당 공천권 축소 △국회의원 후보를 여야가 동시에 국민참여경선으로 선출 △기초자치단체장과 의원의 정당공천 폐지 등, 그리고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단을 방지키 위해 분권형 리더십을 제안한 바 있다.


이처럼 정치쇄신과 관련해 박 당선인은 '4년 중임제'의 개헌 추진과 함께 약속한 정치쇄신안이 이행되어야 한다.


정치쇄신과 더불어 시대정신으로 부상한 경제민주화도 박 당선인이 풀어야할 과제다. 우리 경제는 그동안 효율성을 강조한 반면, 공정성은 상대적으로 간과해 왔다.


그런 과정에서 대기업의 사익추구행위, 대기업의 시장지배력 남용행위, 담합을 통한 경제력 남용행위 등 시장의 불공정성이 만연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불공정한 경제 질서를 개혁해 공정한 시장경제질서 확립과 서민, 중소기업과 비정규직 등 경제적 약자 보호를 통한 경제민주화 실현은 시대적 요구다.


한편 사법개혁은 박 당선인을 기다리고 있는 현실적 과제다.


현 정권 내내 수사권과 기소권을 독점하고 있는 검찰에 대한 국민적 불신은 ‘정치 검찰’이라는 비판과 함께 최근에는 금품수수, 성추문, 지도부 간 갈등까지 노출하며 스스로 개혁 대상으로 등장했다.


사법개혁은 우선 국민적 불신이 증폭된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고 기소독점 등의 권한을 대폭 축소하는 한편 검·경 수사권을 대폭 조정하여야 한다.


그동안 정치검찰이란 불명예와 기소독점권으로 무소불위의 검찰권을 행사했다는 점에서 수사와 기소의 분리로 검·경 수사권을 조정하는 등 박 당선인이 풀어야만 하겠다.


또한 '민생 대통령'으로 1천조 원 대에 이르는 가계 부채는 박근혜 당선인이 시급히 챙겨야 할 현안이다. 당장 실물 경기회복과 민생 안정에 당분간 집중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경제민주화와는 상충될 수 있어 성장과 경제 민주화의 접점을 찾아야 하겠다.


아울러 일자리 문제와 복지문제가 성장보다는 복지와 분배를 강조하면서 중산층 70%을 목표로 한 민생 현안은 박 당선인의 강력한 실천 의지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지을 것 같다.

저작권자 © 한국인터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