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10월 오송 신도시계획 발표를 시작으로 이원종 전 지사시절 입안, 정우택 전지사 시절 구체화, 이시종 현 지사가 2011년 12월3일 오송을 역세권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고시해 100년 먹거리 개발을 추진하겠다며 민선 5기 선거공약으로 장미 빛 청사진을 제시했다.


하지만 사업시행 과정에서 공모가 실패를 거듭하자 궁여지책으로 2013년 4월 개발면적을 임의적으로 축소했고 그것도 여의치 않자 개발공영 51%, 민자 49%로 변경해 청주.청원에 각각 250억원씩 출자를 강요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2013년 8월 민자공모를 유치했지만 2개 업체가 컨소시엄 부적격 판정으로 사업에 진척을 이루지 못하며 2013년 10월 3일 역세권 개발 포기선언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시종 지사는 3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송 역세권 개발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지 못한 점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머리를 숙였다.


이날 이 지사는 오송역세권 개발사업 포기 원인을 지가폭등·부동산 경기침체·무리한 요구였다고 분석했다.


사실상 전문가들은 시작단계부터 이미 예견된 일이라는 지적이다.


충북도가 2005년 10월 오송신도시 건설 기본계획안을 발표하자 주변 땅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인근지역 공시지가 상승률이 매년 4~7%에 그칠 때 이 일대는 80%의 상승률에 달했다.


또한 인근에 있는 세종시의 경우 평당 조성원가는 210만원, 청주 도심 일부지역은 150~200만원 수준인데 비해 오송 역세권을 297만원에 달해 개발 수익성이 없는 투기 온상지로 전락해 버렸다는 지적이다.


한편 충북도의 오송역세권개발 포기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 주민들은 역세권 개발사업을 계속해서 추진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오송역세권개발사업주민대책위원회는 개발지역 축소수 후 전면 공영개발을 주장하고 있다. 당초 49만평의 개발지역을 15만1000평으로 축소해 개발하기로 충북도가 약속한 만큼 이를 그대로 추진하자는 것이다.


또 다른 주민대책위인 원주민대책위원회는 역세권개발사업이 무산됐지만 다른 대안을 찾아 개발을 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충북도가 주도적으로 다시 차선책을 마련한다면 주민들도 고통분담을 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추고 있다.


이들은 도와 충북공사가 발상의 전환만 하게 되면 이 문제는 쉽게 해결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원주민대책위 관계자는 "이번 사업이 관 주도로 진행되다보니 무산된 것"이라며 "민간사업자가 개발할 수 있게끔 당근을 줘야하며 이 과정에서 고통부담을 감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오송역세권개발사업은 관이 주도해 개발이 무산된 만큼 민간투자가 활성화 될 수 있는 민·관·학이 새로운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의 상황이 썩 좋지 않아 "역세권 개발이 이대로 주저앉으면 주민들의 3분의 1은 이자 상환도 못해 경매로 집을 빼앗기는 등 죽어나갈 판"이라고 걱정하고 있다.


그들은 정신적, 재산적 피해를 배상받기 위한 소송과 함께 오송이 세종시에 포함될 수 있도록 편입 운동을 벌이겠다고도 했다.


충북도 발표를 믿고 따랐던 지역주민들의 원성이 하늘을 찌르고 있다.


이 지사는 지난 3일 사과하는 자리에서 "오송역세권 개발의 필요성과 당위성은 충분히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역세권 개발 자체를 영원히 포기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주민 합의하에 현실적으로 가능한 새로운 방안이 도출된다면 도는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충북도와 이시종 지사는 적극 나서 '솔로몬의 지혜'로 지역주민들이 잘 살아 갈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이시종 지사가 민선 4기 오송 메디컬그린시티 사업을 백지화하고 민선 5기 오송역세권 개발을 추진한 책임은 사과로만 책임질 문제는 결코 아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한국인터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