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 학교 평교사의 아름다운 한 생각이 세상을 아름답게 변화시키고 있어 세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생명존중 문화가 자리 잡으면 정말 평화로운 새날이 올 거라고 생각합니다” 충북 증평 형석중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며 시인이기도 한 김병기 교사(52)의 말이다.


1991년 교직에 첫발을 디딘 김 교사는 2004년부터 예술과 철학, 사상이 흐르는 새날문화운동을 펼치고 있다.


‘스승과 제자가 어디 있나요. 우주가 다 사제지간입니다’ 김 교사의 시 ‘배움’의 한 구절이다.

김 교사는 SNS를 통해 이런 명상의 글을 매일 3,000여명에게 보내주고 있다.


신동호 화백과 박양준 서예가, 가수 이성원, 오근석 작가, 최현석 작곡가 등 10명의 예술인도 새날 문화운동에 동참해 김 교사의 시에 그림과 붓글씨, 곡 등을 무료로 입혀주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작품은 컴퓨터 파일로 전국의 200여개 학교와 다양한 사회단체에 무료로 보내진다.

2012년에는 증평군으로 부터 786만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액자, 엽서, 시계, 접시 등으로 750여점을 제작해 증평군 내 10개 학교에 무상으로 전달했다.


김 교사의 생명존중 사랑은 기적을 낳고 있다. 김 교사는 2012년에는 형석고 학생들과 함께 2017년까지 5년간 헌혈증서 1,000매를 모으는 운동을 펼쳐 2016년까지 헌혈증 530매를 대한적십자사와 백혈병 환우회에 기증했다.


2014년에는 가난과 이념 등으로 심신이 지친 탈북학생 B양(형석고)의 교내·외 활동을 적극적으로 돕는 한편 올해까지 4,612만원이나 되는 장학금을 모아 전달했다. 현재 3학년인 B양은 상위성적을 거두며 잘 생활하고 있다.


2015년도에는 기초생활보장비로 힘들게 살아가는 미혼모 박씨(40)가 희귀병에 걸린 생후 16개월 아기로 절망에 빠지자 자신의 SNS와 형석고 학생자치회, 변호사협회 등에 알려 2,000만원 가까운 성금을 모아 전달했다.

그 후로도 KBS 방송 ‘나눔의 행복’ 에 제보하는 등 간접적인 후원 활동을 펼쳐 아기는 지금 서울 삼성병원에서 심장 수술을 받고 회복 중에 있다.


김 교사의 새날 문화운동은 크게 밥 문화, 절 문화, 길 문화, 말 문화 운동 등 4대 운동이다.


밥 문화 운동은 밥이 다른 생명에서 오는 것이니 고마운 마음으로 먹고 음식을 남기지 않는 빈 그릇을 실천하자는 것이다.


절 문화 운동은 단전(생명)에 손을 모으고 허리를 굽혀 나에게로 오는 절(인사)을 해 생명과 자기를 존중하는 겸손한 마음을 기르자는 것이다.


길 문화 운동은 전통적으로 생명의 방향인(우측-동쪽-생명) 우측보행을 통해 바른길로 나아가 깨달으며 ‘나답게 살자’는 정신을 기르자는 것이다.


말 문화운동은 언어는 자신의 인격임으로 고운 말을 써서 조화로운 세상을 만들어 가자는 묵자의 사상이다.

김 교사의 이런 운동은 형석고 교육에도 깊이 뿌리 내렸다.

형석고 학생들은 2011년부터 ‘새날 아침을 열며‘라는 제목으로 자신을 반성하고 다짐하는 자성록을 만들고 있다. 자성록은 학생들의 심신 치유에 큰 효과를 거두었다.


실제로 자성록을 만들었던 A양은 대통령에게 김 교사에게 큰 상을 내려달라며 A4용지 8장 분량의 장문으로 된 손 편지를 쓰기도 했다.


김 교사는 “생명 존중은 인류의 모든 갈등을 잠재우고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들 수 있다”며, “건강이 허락하는 날까지 새날 문화운동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 사는 세상의 밀알이 된 김 교사의 생명존중 생각이 풍성한 행복의 나무로 학교에서 지역에서 사회에서 쑥쑥 성장하고 있다. / 김주옥 기자

저작권자 © 한국인터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