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청년 작가' 최인호가 침샘암으로 5년간 투병끝에 끝내 별들의 고향으로 향했다.

최 작가는 문단에 첫발을 딛는 순간부터 '기록을 만드는 남자'라는 별명을 얻었다.


'최연소 신춘문예 당선', '최연소 신문 연재 소설가', '작품이 가장 많이 영화화된 작가' 같은 수식어가 언제나 그의 이름 앞에 자리했다.


그는 서울고 2학년에 재학 중이던 열여덟살의 나이에 등단해 기성과 청년 문화, 엘리트와 대중의 배타적 구분을 거부하면서 통기타와 청바지로 상징되는 1970년대 청년문화의 기수가 됐다.


젊은이들의 문화가 퇴폐적이라는 비판에 휩싸이자 최인호는 1974년 발표한 '청년문화 선언'을 통해 이렇게 외친다. "고전이 무너져 가고 있다고 불평하지 말고 대중의 감각이 세련되어 가고 있음을 주목하라. 그들을 욕하기 전에 한 번 가서 밤을 새워보라."


1963년 단편 '벽구멍으로'가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가작으로 입선해 등단한 최인호는 1973년 조선일보에 '별들의 고향'을 연재하면서 최고의 대중 작가로 주목받았다.


젊은 여성 '오경아'의 삶을 통해 현대 소비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그린 '별들의 고향'은 단행본 출간 직후 베스트셀러에 올랐고, 이장호 감독·신성일 주연의 영화로도 만들어져 큰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별들의 고향'을 비롯한 대중 소설을 발표하면서 '상업주의 작가', '퇴폐주의 작가'라는 평을 받기도 했다.


투병 중에도 산문집 '하늘에서 내려온 빵'과 '천국에서 온 편지' 등을 펴낸 작가는 등단 50주년을 맞은 올해 초 그동안의 연재 글 등을 묶은 산문집 '최인호의 인생'을 펴냈다.


갑작스럽게 찾아 온 병마와 싸우는 고통과 공포를 솔직히 써내려간 책에서 작가는 "그동안 명색이 작가랍시고 거들먹거리고 지냈음이 문득 느껴져 부끄럽다.


진심으로 머리 숙여 사죄한다"면서 "혹여나 이 책을 읽다가 공감을 느끼면 마음속으로 따뜻한 숨결을 보내주셨으면 한다. 그 숨결들이 모여 내 가슴에 꽃을 피울 것이다"고 적었다.


'최인호의 인생' 말미에 자리한 '꽃잎이 떨어져도 꽃은 지지 않는다'는 그가 책으로 펴낸 마지막 글이 됐다. / 오민지 기자

저작권자 © 한국인터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