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지난 3일 만났다.


작년 8월 정권 재창출이란 공동관심사를 갖고 만난지 10개월 만에 회동이다.


그 당시엔 이명박 정부의 성공은 이 대통령의 목표이고, 정권 재창출은 박 전 대표의 목표라는 인식하에 자리를 했었다.


이런 설정으로 4·27 재·보선을 치룬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은 국민의 마음이 현 정권에서 떠나 있음을 알게 된다.


이 대통령의 지지율은 곤두박질치고 민주당은 비상(飛翔)했다, 박 전 대표는 독주하고 손학규는 여권을 위협했다.


이런 판세는 한나라당 원내대표 경선에서도 나타났다. 힘에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권력구도가 이명박-박근혜로 넘어가는 과정이 연출되었다.


이날 만남은 4·27 재·보선 표심(票心)에서 확인했듯이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으로부터 떠난 국민의 마음을 되돌릴 수 있을지? 가 최대 현안이다.


이 숙제를 풀어야만 두 사람이 10개월 전 만남에서 다짐했던 '이명박 정부의 성공'과 '정권 재창출'이 함께 가능해진다.


그동안 박 전 대표가 이명박 정부의 국정(國政)운영에 철저히 거리를 두고 여당의 정치인이라기보다 야당의 대표에 가까운 정치적 입장을 취해왔다.


그러나 유권자들이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를 다른 당에 속한 것처럼 떼어 놓고 생각하기엔 선거가 점점 다가 올수록 어렵게 된다. 박 전 대표가 여당 지지와 정권 재창출을 호소하려면 이명박 대통령과 함께 유권자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


박 전 대표는 이명박 정부가 레임 덕에 빠지지 않고 지금까지 꾸려온 국정의 큰 틀을 잘 마무리 짓도록 협력해 현 정권의 실적 평가와 박 전 대표에 대한 기대치가 합쳐 유권자로 부터 시너지 효과를 얻어 냄으로서 대선 승리의 꿈을 이룰 수 있다.


이 대통령 역시 박 전 대표의 역할론에 일정한 공간을 주어 독자적인 비전과 정책을 제시해 펼칠수 있는 휠드를 만들어 주는 것이 급선무다.


그것이 바로 자신이 성공한 대통령으로서 평가받는 길이며 정권재창출이 가능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또한 정치 논리보다는 민생에 초점을 두고 서민과 저소득층 중심으로 국정을 운영하여야 하며 분열보다는 통합으로 방향 키를 잡아야 한다.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야권으로 정권이 교체가 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한나라당 보다 10% 가량 높았고 다음 대통령으로는 박근혜 전 대표를 택했다.


이런 모순된 반응은 대선과 총선이 다가올수록 박 전 대표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야권이 단일 후보를 내고 여·야 맞대결로 갈 경우 박 전 대표로서도 장담할 수만은 없다.


지금부터라도 민생쪽으로 올~인하지 않으면 살아 남을 길이 없어 보인다.


국민들의 체감은 현 정권의 경제실책과 함께 실용정책이 실패하였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한국인터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