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경상도에서 행정수도와 같은 행운을 얻었다면 우리처럼 반쪽만 건졌을까? 어떻게든 성공시켰을 것이다. 위헌심판을 받아 무산위기에 처하지도 않았을 것이고, 행정도시로 축소되지도 않았을 것이다.


반쪽으로 축소된 것마저 취소위기를 맞았다가 겨우 회복된 것은 충청도가 힘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아무리 숫자가 작다고 해도 무시당하는 것도 한두 번이다.


지렁이도 밞으면 꿈틀거린다는 속담은 아무리 못난 사람이라도 번번이 무시당하면 화를 낼 수밖에 없다는 섭리를 말하는 것이다. 행정수도로 상처를 받은 충청도가 그에 못지않게 무시당한 게 과학벨트였다.


우리가 해달라고 사정하지도 않았다. 급하니까 찾아와서 해주겠다고 했으면 약속을 이행하는 게 당연하다. 대통령에 당선되고 나니까 해줄 수가 없다고 하는 것은 우릴 깔보지 않고는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다.


그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을 해달라고 투쟁한다는 게 우습지만 현실이니 어쩌겠는가. 이런 때마다 우릴 대변해줄 인물이 없는데 대한 안타까움을 느끼게 된다. 역사적으로도 충청도는 권력을 잡아본 적이 없었다.


특히 남북이 분단된 후에는 영호남간의 권력 싸움에 끼어서 눈치 살피기에 급급했다. 잘못 붙었다간 뼈도 못 추리는 상처를 입기 일쑤였다. 그런 중에서도 영호남을 가지고 놀았던 때가 잠깐 있었다.


그게 바로 JP시절이었다. 박정희 대통령 때엔 2인자 소리를 들을 만큼 당당했고, 문민정부에서도 김영삼과 김대중을 대통령에 당선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니 일정한 지분도 챙길 수 있었다. 영호남을 능가할만한 권력을 쥘 수는 없었지만 최소한 억울한 일은 당하지 않았다.


JP가 칩거하기 시작하면서 이회창대표가 그 공백을 메우려고 했지만 어림도 없었다. 충북조차 아우르질 못했으니 영호남과 대적한다는 말은 나올 수가 없었다. 요즘 이회창대표가 충청연합론을 들고 나오면서 정치권을 긴장시키고 있다.


자신이 물러나면 심대평, 이인제 등 충청권 인사들이 연합할 수 있을 것이란 뜻이다. 문제는 충청권을 결집할만한 리더가 없다는 점이다. 게다가 생활권도 다르다. 행정도시나 과학벨트 등으로 목표가 주어지긴 했지만 공동생활권이라고 말 할 수는 없다.


그런데도 충청연합론을 주목하는 것은 친이, 친박 미래연합 등 보수대연합의 진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저작권자 © 한국인터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