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호 기자]농민단체가 우리밀 재고 해소와 식량자급률을 높이라며 정부에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30일 오전, 한국우리밀농협과 전국농민회총연맹광주전남연맹, 한농연광주시연합회, 우리밀생산자위원회 등 40여 농민단체 소속 200여 명의 농민들이 전라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재 1만 5천톤에 이르는 우리밀 재고 해소와 식량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정부차원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광주전남연맹 김재욱 의장은 이 자리에서 “2007년부터 2년 간 국제 곡물파동으로 아시아와 중동, 아프리카, 남미 등 30여 개국에서 일어난 식량폭동으로 수천 명이 사망한 것을 기억해야 한다” 면서 “당시 주요 곡물생산국들이 밀과 보리 수출을 금지해, 국제곡물가격은 3배가량 폭등했고, 수많은 사람들이 식량부족으로 고통 받았던 사실을, 문재인 정부는 우리의 식량자급률이 23%대로 추락한 엄중한 현실인식과 함께, 식량안보를 국방안보와 동일시하는 국정과제를 수립하기 바란다”고 요구했다.


한국우리밀농업협동조합 박규견 정책위원장은 “미국 150%, 프랑스 164%, 호주 176% 등 선진강국치고 농업강국이 아닌 나라가 없다”면서 “산업혁명으로 농업을 경시한 영국이 자유무역론자들의 비교우위론을 수용해 1864년 ′곡물법′을 폐지하고 식량을 수입하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의 해상봉쇄로 식량 수입의 국난을 겪은 뒤 농정을 중시하고 1980년대 들어 밀 수출국이 된 영국의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지난 1984년 정부의 수매 중단으로 사라졌던 우리밀은 현재 2,100여 명의 밀 재배 농민들로 구성된 한국우리밀농업협동조합 등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계약재배를 통해 생산되고 있다. 한국우리밀농협 등 민간단위의 노력으로 우리 국민의 제2 주식인 우리밀은 2006년 0.2%의 자급률에서 2016년 현재 3만 2천 톤인 1.6%로 자급률을 8배 까지 대폭 끌어 올렸다.


특히 기자회견에서 한국우리밀농협은 누적된 재고와 올해 수매된 3만 3천 톤의 보관창고와 수매자금 부족 등 3중고에 대해 정부차원의 특단의 조치를 촉구했다. 현재 우리밀 소비시장 규모는 2만 5천 톤에 이르고 있으나, 지난해 생산된 재고밀을 포함 4만 톤이 누적돼 있어, 현재 1만 5천 톤의 우리밀 재고처리가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그동안 우리밀 재고량 증가에 따른 대비책으로 군납 7,000톤과 주정용 알곡 1만 톤을 처리하는 방안을 모색했으나, 밥쌀용 의무수입물량에 따른 쌀 재고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우리밀의 재고해소의 완충 조절기능이 약화되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15년 9월 우리밀 파종면적 확대와 생산량 증산을 통한 식량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우리밀생산자단체와 가공 유통 단체, 그리고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등 5개의 광역지자체와 공동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은 생산자단체의 파종면적 확대와 생산량 증가, 가공 유통자단체의 소비촉진, 광역지자체의 생산 확대 독려와 생산 장려금을 통한 재정적인 지원을 담고 있으나, 불과 2개월이 지난 뒤, 밥쌀용 쌀 의무 수입 물량에 의해 뒷전으로 밀려났다.


그동안 한국우리밀농협을 비롯한 생산자 단체는 재고 물량에 대한 주정용 공급과 대통령령(제 24752호)에 의해 마련된 우리밀의 공공비축, 그리고 군납과 학교급식 등 대량 소비처에 대한 우리밀 의무 사용 등을 요청해 왔다.


우리밀을 둘러싼 시급한 현안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은 수매자금 확보. 정부의 수매중단으로 밀 수매는 한국우리밀농협 등 민간단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수매자금 확보의 어려움은 해마다 되풀이 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한국우리밀농협은 지난 7월 농림축산식품부의 주선으로 at센터와 수매자금 대출을 협의했으나, 현물담보대출은 어렵다는 at센터의 거부로 결렬 되었다. 생산농민들에게 수매자금의 미지급 시 당장 내년 우리밀 파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것으로 보여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우리밀농협 천익출 조합장은 “이러한 한계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우리밀 1만 톤을 주정 원료로 공급하고, 공급 시 발생되는 제비용의 보전과 양곡관리법에 의한 우리밀 공공비축용 1만 톤의 소요예산을 편성하여, 우리밀의 안정적인 생산과 유통구조를 구축해 국가차원의 식량자급률을 제고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저작권자 © 한국인터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